본문 바로가기
주식경제연구

고교 졸업 후 30세까지, 사업·주식 없이 저축만으로 1억 가까이 모으는 현실 플랜(청년 자산불리기 프로젝트)

by cocori 2025. 7. 30.
반응형

사업도 하지 않고, 주식 투자도 하지 않지만, 30세 이전에  1억 가까운 목돈을 모을 수 있을까?
군적금, 청년내일저축계좌, 청약통장 등 정부 지원 제도를 활용하고 계획적으로 저축하면, 리스크 없이 누구나 30세 이전에 7천만~1억 원에 가까운 자산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현실적인 시나리오입니다.

리스크없는 가장 현실적인 1억모으기 플랜


시나리오 가정

  • 19세에 고등학교 졸업 → 군 복무 → 대학 진학(또는 바로 취업) → 20대 중후반 취업
  • 세후 월급 약 230만 원, 생활비 100만 원, 월 130만 원 저축 가정
  • 투자 없이, 예금·적금·청약통장 이자만 포함

11년간 단계별 자산 형성 계획

항목 기간 월 저축액 원금(예상) 원금+이자(예상) 설명
군 복무 급여+군적금 1.5년 약 100만 원 약 1,700만 원 약 1,800만 원 병장 월급(2025년 약 100만 원) + 군적금 이자(연 5~6%)
청년내일저축계좌 3년 10만~30만 원 약 1,350만 원 약 1,500만 원 정부 매칭 + 이자 포함
청년희망적금 2년 50만 원 약 700만 원 약 750만 원 월 50만 원 납입, 정부 지원금 포함
대학 시절 알바 저축 4년 50만 원 약 2,400만 원 약 2,600만 원 알바 수입 중 일부를 저축
청약통장 5~6년 10만 원 약 180만 원 약 200만 원 월 10만 원 납입, 우대금리 3% 가정
청년 월세지원 등 혜택 2년 해당 없음 약 240만 원 약 240만 원 월세지원 20만 원 × 12개월 + 교통비 등
취업 후 3년 저축 3년 약 130만 원 약 3,700만 원 약 4,000만 원 세후 월급 230만 원, 생활비 100만 원, 월 130만 원 저축

총합

  • 원금 합계: 약 1억 270만 원
  • 원금+이자 합계: 약 1억 1,100만~1억 2,000만 원

예상 생활비와 예기치 못한 지출(약 30%)을 반영하면 실제 저축 가능액은 약 7,700만~8,400만 원입니다.


이 플랜의 핵심

  1. 군적금·청년내일저축계좌·청년희망적금을 모두 활용해 정부 지원금을 최대한 받는다.
  2. 청약통장은 장기적으로 주거 마련용으로 유지하며 우대금리 혜택을 챙긴다.
  3. 취업 후 3년간은 생활비를 최소화하고 월 130만 원 이상 저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4. 부모와 거주하거나 청년 월세지원, 사내 기숙사 등을 활용해 지출을 줄인다.

참고예시 : 안정적 저축 플랜 단계별 나이대별 계획

20세부터 30세까지, 청년들의 라이프 사이클에 맞춰 구체적인 저축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20세 (대학 진학 및 알바 시작): 대학생활 중에는 아르바이트를 통해 월 약 50만 원을 저축합니다. 이 시기의 저축은 군 입대 전 자금 마련과 초기 자산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 21~22세 (군 복무 1.5년): 병장 급여 월 약 100만 원 전액을 군적금으로 저축하며, 군 적금의 높은 이자 혜택을 최대한 활용합니다.
  • 23~26세 (군 제대 후 알바 및 준비 기간): 복학 혹은 사회 진입 전 알바 수입의 일부를 꾸준히 저축해 약 월 50만 원을 목표로 합니다.
  • 27~30세 (취업 후 집중 저축): 안정적인 취업 이후, 월 최소 100만 원에서 최대 130만 원까지 저축하며 생활비는 절제합니다. 이 시기에 최대한 자산을 모으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처럼 각 나이대별 현실적인 수입과 생활 패턴에 맞춘 단계별 저축은 30세 이전에 7천만 원에서 8천만 원 가까운 목돈을 안정적으로 마련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참고 데이터 출처

  • 국방부: 병장 월급(2025년 기준) 약 100만 원
  • 보건복지부: 청년내일저축계좌 정부 매칭 최대 월 30만 원
  • 국토부: 청약통장 우대금리 최대 3% 내외
  • 시중은행 적금 금리(2025년) 평균 3% 수준

이 돈으로 할 수 있는 일

  1. 수도권 소형 오피스텔·빌라 전세금 마련
  2. 결혼자금 일부(예식, 계약금, 혼수 일부)
  3. 이후 연금저축, ETF 등 안정적인 투자로 자산 증식 시작의 종자돈

 

30세 이전에 1억 가까운 자산을 모으는 것은 결코 불가능하지 않습니다.
핵심은 지금부터 절제, 정부 제도 적극 활용, 꾸준한 저축 습관이 필요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확보한 자금을 재투자해 30세 이전에 1억 이상을 만드는 멀티플레이어 플랜을 소개합니다.

 

2편,3편 보러가기

고교 졸업 후 30세까지 1억 이상 만드는 멀티플레이어 투자 플랜(청년 자산불리기 프로젝트)

 

고교 졸업 후 30세까지 1억 이상 만드는 멀티플레이어 투자 플랜(청년 자산불리기 프로젝트)

사업소득 및 주식 직접투자 없이 안정적 저축을 기반으로 리스크를 최소화 하며 자산을 더 크게 불리는 현실적 투자 전략1. 플랜 개요1편에서 소개한 정부 지원 저축 제도를 바탕으로 자금을 마

www.cocoshift.com

1억 모으기 플랜 총정리: 안정적 저축 vs 멀티플레이어 투자 비교 분석

 

1억 모으기 플랜 총정리: 안정적 저축 vs 멀티플레이어 투자 비교 분석

청년들이 30세까지 1억 가까운 자산을 모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지난 1편과 2편에서는 각각 ‘안정적 저축 플랜’과 ‘멀티플레이어 투자 플랜’을 소개했습니다.이번 3편에서는 두 플랜의

www.cocoshift.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