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42 2025년 무슨 해? 띠,나이,년도 60갑자 해석으로 직접 쉽게 배우기 매년 연초와 연말에 우리는 무슨 해 인지 무슨 띠인지 몇년 생 무슨 띠 인지 궁금해 합니다. 60갑자가 무엇인지 어떻게 해석하는지 매우 복잡하고 어렵다고 생각하는데 이번 편에서 사실 그리 어렵지 않고 복잡하지 않은 60갑자 해석으로 내가 태어난 해와 띠에 대해 알아보고 다른사람의 태어난 해와 띠도 알려줄 수 있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60갑자의 역사적 유래등 이런 내용은 다루지 않고 기능적으로 60갑자를 해석하는 것 에만 치중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십간해석 위 표는 직접 만든 60갑자표의 일부 입니다. 먼저 왼쪽 상단에 빨깐 박스 안의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라고 씌어진 십간 이라고 불리는 10개의 글자가 있습니다. 이는 60갑자의 앞축을 이루는 10개의 글자로 60갑자이므로 똑같이 6번 반복하.. 2024. 11. 26. 우리나라 역대 화이트 크리스마스와 크리스마스에 눈이 내릴 확률 분석 과연 우리나라 역대 화이트크리스마스 였던 날과 크리스마스에 눈이 있었던 날은 언제였고 몇번이었을까?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해 보기위해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여 이번 포스팅을 작성해 봅니다. 먼저 수집가능한 역대 성탄절에 눈이 온 날과 성탄절 전날 눈이 온날을 찾아 보았습니다. 1980년대 부터 2023년까지 자료를 분석하여 표로 만들어 보았고 기준은 수도권(서울) 기준으로 작성해 보았습니다. 위 표를 분석해 보면 아래와 같은 아주 흥미로운 데이터들을 찾아 낼수 있습니다. 1980년대 (1980-1989) 크리스마스 이브에 눈이 온 해: 2번 (1981, 1985) 크리스마스 당일에 눈이 온 해: 0번 크리스마스 이브 또는 크리스마스 당일에 눈이 온 해: 2번 (1981, 1985) 확률: 크리스마스 이.. 2024. 11. 25. 우리나라 역대 첫눈 내린 날 과 (서울기준) 기후 변화 연관성 겨울이 시작되면서 첫눈은 과연 언제 내릴까 궁금해 집니다. 다른 지역보다 빨리 첫눈이 내리는 강원 산간지역등을 제외하고 우리나라 수도권 서울기준으로 역대 첫눈 내린 날짜를 정리해서 알아보고 기후관련 분석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표는 기록이 남아 있는 1940년대 부터 2020년대 까지 첫눈온 날짜를 정리한 표입니다. 위표를 분석해보면 1940년대 ~ 1960년대는 우리나라가 혼란한 시기라 자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970년대부터 첫눈 온 평균 날짜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970년대: 평균적으로 11월 26일경에 첫눈이 내렸습니다. 1980년대: 평균적으로 11월 18일경에 첫눈이 내렸습니다. 1990년대: 평균적으로 11월 22일경에 첫눈이 내렸습니다. 2000.. 2024. 11. 25. 내 컴퓨터 시스템 사양과 윈도우 사양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 2가지 내가 사용하는 컴퓨터의 사양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아주 간단한 방법 2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컴퓨터 사양과 사용 윈도우 사양을 확인 해야 하는 경우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컴퓨터 업그래이드 또는 게임구동, 프로그램 구등등에 필요한 요건이 충족되야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알아두면 아주 간단 하게 사용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1. 가장 간단한 내 컴퓨터 사양과 윈도우 사양 알아보는 방법 첫번째바탕화면에서 내PC 아이콘을 마우스 우클릭하여 맨아래 속성 으로 들어갑니다. 속성으로 들어가면 바로 내 컴퓨터 CPU사양, 메모리용량,시템종류 등 하드웨어 사양을 확인 할 수 있고 아래쪽에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 시스템 사양과 버전을 바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가장 간단한 내 컴퓨터 사양과 윈도우 .. 2024. 11. 22. 크리스마스 성탄절 이브 양말을 걸어 놓는 풍습의 유래 어렸을적 시골에서의 성탄절 전날 밤을 생각해 보면 모두 잠든 밤에 문고리에 양말을 걸어 놨던 기억이 납니다. 성탄절 아침 양말속에 사탕,과자,초코렛,캬라멜등 맛있는 먹을 거리가 들어 있는 것을 보고 산타 할아버지가 정말 선물을 주고간 것인줄 알고 정말 기뻐했던 기억이 나는데요. 이처럼 성탄절 전날 양말을 걸어 놓는 풍습은 언제부터 생겨난 것일까? 궁금해 집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탄절 양말 걸어 놓는 풍습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로부터 전해 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산타클로스 할아버지로 알려진 성 니콜라스 주교가 관할 하던 소아시아의 미라 라는 도시가 있는데 이도시에 몰락한 귀족이 있었습니다. 이 귀족은 여러 사업의 실패로 인해 몰락했고 그에게는 3명의 딸이 있었는데 결혼.. 2024. 11. 22. 윈도우 시스템에서 내 컴퓨터에 설치된 그래픽카드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들 3가지 내가 쓰고있는 컴퓨터에 어떤 그래픽 카드가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아주 간단한 방법이지만 그래픽카드를 교체하고 새 그래픽카드를 선택할 때 꼭필요한 정보입니다. 또한 어떤 프로그램이나 게임 등에서 필요로 하는 그래픽카드 성능을 확인 할 때도 유용하게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다음은 윈도우에서 그래픽카드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1. 첫번째 방법 : 화면의 좌측하단 윈도우 로고 옆 돋보기에 장치 관리자를 입력합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장치 띄우고 관리자를 입력하면 바로 나타납니다. 가끔 장치관리자를 이어서 써서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는 분들도 있음) 위 화면에서 장치 관리자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장치 관리자 팝업이 뜹니다.위 팝업이 뜨면 디스플레이 어댑터를 클릭하면 하위에 내컴퓨터에 설치된 그래픽카드.. 2024. 11. 20. 강력한 힘의 작용 유압 시스템의 원리와 기계응용(파스칼의 법칙,아르키메데스의 법칙) 유압기의 원리는 기본적으로 파스칼의 법칙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이 법칙에 의하면 밀폐된 공간 안에서 유체에 가해진 압력은 모든 방향으로 균등하게 전달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를 통해 작은 압력으로도 큰 힘을 만들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응용된 각종 장치에 적용됩니다. 특히 기체는 압력을 가하면 부피가 줄어들지만 액체의 경우 압력을 가해도 부피가 거의 변화가 없다는 것을 적용하여 각종 기계장치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유압 시스템은 액체를 매체로 하여 각종 동력의 전달 및 변환을 제어하며 이를 위해 펌프, 밸브, 액추에이터등을 구성하여 작동되는데 펌프는 유압유를 장치내로 유입시키고 밸브는 유압유의 흐름을 제어합니다. 액추에이터는 작용된 압력을 통해 기계적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유압시.. 2024. 11. 20. 역대 수능일 날씨 알아보기(1994년 ~ 2024년까지) 수능한파라는 말이 무색하게 11월에도 춥지 않은 날씨가 계속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연 정말로 수능당일 수능한파라는 말에 어울리게 추운 날씨가 많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표는 역대 수능 당일 최저 온도와 최고 온도를 나타내는 표 입니다. 위 표를 분석해 보면 수년에 한번 정도씩 영하의 온도를 기록하는 것 외에 전반적으로 기온이 크게 달라져 보이지는 않습니다. 최근 몇년간 과거에 주기적으로 있었던 영하의 기온을 건너 뛰는 모습을 보이고는 있습니다. 근래 2023년과 2024년 연속으로 최저 온도가 10도씨 이상으로 올라가 있는 모습이 보이고 최고 온도도 같은 해 최고 기온을 보이고 있습니다. 연속적으로 최저 온도와 최고 온도가 10도씨 이상인 경우는 23년과 24년 올해.. 2024. 11. 14. 지구상에 생명체가 저절로 발생할 확률을 인공지능에게 물어보았습니다. 우리 인간의 근본적인 질문중 하나인 '지구상에 생명체가 어떻게 저절로 생겨 났을까?' 에 대한 질문을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로 소프트 Copilot, Chatgpt, 네이버 Cue 에게 물어 보았습니다. 과연 이들이 답하는 지구상 생명체의 발생 확률에 대한 답을 알아보고 저의 생각을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공통 질문 내용 : 지구상에 생명체가 저절로 발생 할 확률은? 마이크로 소프트 Copilot의 답변(보다 정밀한 선택) 지구상에 생명체가 저절로 발생할 확률은 매우 낮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생명체가 저절로 발생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며, 그 확률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백질 하나가 우연히 만들어질 확률은 약 10의 520승 분의 .. 2024. 11. 13. 국립과 공립의 차이점과 공동점은 무엇일까? 국립과 공립의 차이점과 공통점은 무엇일까? 가끔 이런 의문을 가질 때 가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학교에는 국립학교, 공립학교, 사립학교가 있는데 보통 사립학교의 의미는 대부분 알고 있지만 국립과 공립의 차이점과 공통점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이 많습니다. 일단 가장큰 차이점은 설립 주체가 다르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 입니다. 먼저 국립은 국가가 설립하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대학교 ,충북대학교, 전남대학교등 국립대학은 국가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립은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하고 운영합니다. 지방자치단체 주체에는 도립, 시립, 군립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학교로 예를 들자면 서울시립대학교, 강원도립대학교,전남도립대학교등은 시 또는 도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공립대학교입니다. 그렇다.. 2024. 11. 12.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4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