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과학 시간의 기본 상식 중 하나는 “물은 100°C에서 끓는다”입니다. 하지만 이 문장은 조건이 붙어야 완전히 맞는 말입니다. 바로 해수면에서의 대기압(1기압) 조건일 때 그렇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지구에서 가장 높은 곳, 에베레스트 정상(8,848m)에서는 어떨까요?
놀랍게도 그곳에서는 물이 100°C가 아니라, 약 70°C 정도에서 끓어버립니다.
왜 높은 곳에서는 물이 낮은 온도에서 끓을까?
물이 끓는다는 것은 단순히 뜨거워진다는 뜻이 아니라, 물이 기체로 바뀌어 기포가 생겨나는 현상입니다.
이 과정은 수증기압 = 대기압이 되는 순간에 발생합니다.
- 해수면(1기압 = 약 101kPa)에서는 물이 100°C가 되어야 수증기압이 대기압을 이깁니다.
- 하지만 에베레스트 정상의 대기압은 약 0.33기압(33kPa)에 불과합니다.
- 이 낮은 압력에서는 물의 수증기압이 금방 대기압을 넘어서므로, 70°C 정도에서도 펄펄 끓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수식으로 이해하기
물의 끓는점과 압력 관계는 복잡한 클라우지우스–클라페이론(Clausius–Clapeyron)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간단한 개념만 짚어 보겠습니다.
- 해수면 (1기압) → 100°C
- 약 0.5기압 (5,000m 고도) → 약 83°C
- 약 0.33기압 (에베레스트 정상, 8,848m) → 약 70°C
즉,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 ↓ → 끓는점 ↓ 이라는 관계가 성립합니다
그렇다면 라면은 어떻게 될까?
많은 등산가들이 실제로 겪는 재미있는(?) 현상이 있습니다.
에베레스트 정상 부근에서 라면을 끓이면, 물이 70°C 정도에서 끓어버리기 때문에:
- 면은 익지 않고 퍼석퍼석하게 남습니다.
- 국물 맛도 제대로 우러나지 않습니다.
즉, 보글보글 끓는 모습을 보더라도 조리 온도가 충분히 높지 않아 우리가 아는 그 맛있는 라면은 완성되지 않는다는 거죠.
그래서 고산지대 원정대는 압력을 높일 수 있는 압력밥솥(Pressure Cooker)를 챙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압력을 인위적으로 높여야 비로소 100°C 근처에서 조리가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결론: 끓는점은 ‘절대값’이 아니다
물의 끓는점은 언제나 100°C라는 절대 법칙이 아닙니다.
주어진 압력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상대적인 값입니다.
- 해수면 → 100°C
- 높은 산 → 더 낮은 온도
- 압력솥 → 더 높은 온도
이처럼 끓는점 변화는 단순한 과학 지식이 아니라, 실제 생활과 탐험, 요리에까지 직결되는 흥미로운 현상입니다.
'바로응용상식과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떨어지는 엘리베이터, 점프하면 살 수 있을까? (2) | 2025.08.31 |
---|---|
후불상조 비교와 선택 가이드: 300만원 이내 합리적인 장례 준비 (3) | 2025.08.20 |
관청,관급계약, 수의계약시 관내업체의 범위 완벽 정리 (5) | 2025.08.11 |
건물 외벽 차양·캐노피·폴딩식 어닝 설치 규정 종합 가이드 (0) | 2025.07.28 |
인터넷으로 무료 또는 저렴하게 대량 팩스를 보내는 실전 방법 가이드 (2) | 202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