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경제연구

삼성전자 장기 투자 전략 보고서, AI 시대의 글로벌 반도체 패권 시나리오

by cocori 2025. 6. 24.
반응형

Ⅰ. 서론: 왜 삼성전자 장기 투자인가?

2020년대 후반부터 반도체 산업은 AI 슈퍼사이클, 패키징 통합 기술, 지정학적 공급망 재편이라는 거대한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위기의 삼성, 뒤쳐진 삼성 이라는 오명을 극복하고 현재의 저평가 상태를 벗어나 기술·경영·공급망의 변화 극대화로 장기적 패권의 재편 기회로 삼아 발전 하는 시나리오로, 이 보고서는 삼성전자의 장기 투자에 대한 심층적분석을 해보고자 한다.

반도체 패권 시대 삼성은 위기를 넘어 성장할 것인가?

Ⅱ. 삼성전자의 핵심 경쟁력

사업부문 현재 위치 장기 성장 가능성
메모리 (DRAM, NAND, HBM) 세계 1위 HBM 통합 시스템 반도체로 진화
파운드리 글로벌 2위 GAA 2nm 공정 안정화 시 역전 가능
모바일 (갤럭시) 글로벌 선도 AI 폰, 폴더블 시장 확대
디스플레이 OLED, QD, 폴더블 세계 1위 차량, XR, 웨어러블 확대
가전·전장 프리미엄 선도 스마트홈, 전장, 바이오 융합

 

Ⅲ. 기술적 역전 시나리오

1. HBM 기반 시스템 통합

  • HBM은 AI 서버·슈퍼컴퓨팅 핵심 부품으로 부상
  • AMD는 삼성 HBM 일부 채택 시작
  • 향후 HBM + CPU + GPU + NPU 통합 패키징 기술은 삼성의 종합기술력이 가장 유리

2. GAA 파운드리 기술 승부

  • GAA 공정은 FinFET 이후 차세대 선단공정 핵심
  • 전력효율·수율 측면에서 TSMC와 격차 축소 가능성
  • GAA 안정화 시 파운드리 역전 기반 확보

3. 시스템 반도체 종합 기업 전환

  • 메모리-로직-패키징-디스플레이 통합 플랫폼 구축
  • AI·전장·스마트홈 시대에 종합 시스템 기술 집적 기업으로 변화

 

Ⅳ. 엔비디아-TSMC-하이닉스 독점구조의 균열

AI 반도체 공급망은 엔비디아 GPU, TSMC 파운드리, 하이닉스 HBM 삼각 독점체제다.
그러나 과집중, 미국 정부의 다변화 요구, 생산 한계로 삼성전자의 대체 지위가 부각되고 있다.

 

Ⅴ. 경영 집중력 상승

이재용 회장의 사법 리스크 해소로 경영 안정성 강화.
삼성의 특유한 초대형 선제 투자 본능이 재가동되고 있다.

 

Ⅵ. 지정학적 리스크 비교

구분 TSMC (대만) 삼성전자 (대한민국)
중국 리스크 심각 상대적 완충
미국 파트너십 생산 확대 압박 전략적 우군

 

Ⅶ. 장기 주가 시뮬레이션 (본주 기준)

시나리오 전제 2035년 예상 주가
보수적 HBM 성장 안정, 파운드리 일부 확대 130,000 ~ 150,000원
중립적 GAA 안정화, 시스템 통합 진전 180,000 ~ 220,000원
강력 낙관 시스템 반도체 리더 도약 250,000 ~ 300,000원 이상

 

Ⅷ. 최종 결론

삼성전자는 단순한 메모리 경기 기업이 아니다.
AI 시스템 통합 기업으로 변화하며 추격-초월 DNA를 다시 발휘할 가능성이 높다.
장기 투자자는 이 구조적 변화를 선취할 전략적 기회에 있다.

 

참고 출처

  • 삼성전자 IR (2024~2025)
  • TSMC Annual Report (2024)
  • 미국 CHIPS Act
  • McKinsey AI 반도체 전망
  • JP Morgan, Morgan Stanley, Goldman Sachs
  • Nikkei Asia, Financial Times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되는 글

삼성전자 주가 전망: 2025년, 또 다시 장기 상승의 기회를 맞이할까?

 

삼성전자 주가 전망: 2025년, 또 다시 장기 상승의 기회를 맞이할까?

2025년, 삼성전자의 주가는 월봉 120선을 터치하며 다시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과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삼성전자는 월봉 120선을 찍고 나서 장기적인 상승을 경험했

www.cocoshift.com

삼성전자 주가 위기 넘기고 반등 할 것인가.

 

삼성전자 주가 위기 넘기고 반등 할 것인가.

삼성전자 투자자 들은 굉장히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을 것입니다. 특히 2021년 초 10만 전자 시대를 기대하고 진입하신 투자자 분들은 더욱 힘들 것 입니다. 3년이 넘는 긴 시간 동안 삼성은 꼭

www.cocoshift.com

삼성 갤럭시 S시리즈의 의미와 갤럭시 S25, 갤럭시 S24 완벽 비교 제공

 

삼성 갤럭시 S시리즈의 의미와 갤럭시 S25, 갤럭시 S24 완벽 비교 제공

삼성 갤럭시 S 시리즈의 상징성과 대표성 삼성전자의 갤럭시 S 시리즈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스마트폰이자, 세계 시장에서 애플 아이폰과 경쟁하는 프리미엄 플래그십 모델입니다. 2010년 첫

www.cocoshift.com

 

 


Samsung Electronics 2035 Long-Term Investment Strategy Report

The AI Era and the Race for System Semiconductor Leadership

 

I. Introduction: Why Long-Term Investment in Samsung Electronics?

The semiconductor industry faces a historic transformation led by the AI supercycle, advanced packaging, and global supply chain restructuring.
Although Samsung is undervalued today, upcoming shifts create rare long-term leadership opportunities.
This report analyzes Samsung's 2035 long-term investment scenario.

 

II. Samsung's Core Strengths

Business Segment Current Position Growth Potential
Memory (DRAM, NAND, HBM) Global No.1 Integrated HBM system semiconductor
Foundry Global No.2 Potential GAA 2nm leadership
Mobile (Galaxy) Global leader AI phones and foldables
Display OLED, QD, Foldable No.1 Automotive, XR, wearables
Consumer Electronics Premium leader Smart home, EV, biotech convergence

 

III. Technology-Driven Upside Scenario

1. HBM-Based System Integration

  • HBM becomes core for AI servers and supercomputing
  • AMD partially adopts Samsung HBM
  • 3D packaging with HBM + CPU + GPU + NPU favors Samsung’s integration capability

2. GAA Foundry Leadership Race

  • GAA process is next-gen beyond FinFET
  • Potential yield and efficiency advantage vs TSMC
  • Stabilization could shift foundry leadership

3. Full System Semiconductor Transformation

  • Memory-Logic-Packaging-Display integration platform
  • AI, automotive, smart home and biotech integration

 

IV. Cracks in the NVIDIA-TSMC-SK Hynix Monopoly

AI chip supply chain remains concentrated in NVIDIA, TSMC and SK Hynix.
Over-concentration, U.S. diversification pressure, and production limits elevate Samsung as a strategic alternative supplier.

 

V. Management Stability and Aggressive Investment

With Chairman Lee’s legal risks resolved, stable leadership enables full-scale aggressive investment reactivation.

 

VI. Geopolitical Risk Comparison

Factor TSMC (Taiwan) Samsung Electronics (Korea)
China geopolitical risk Severe Relatively mitigated
U.S. government pressure High Strategic ally

 

VII. Long-Term Stock Price Simulation

Scenario Assumption Target Price (2035)
Conservative Stable HBM growth, partial foundry gain 130,000 ~ 150,000 KRW
Neutral GAA stabilization, system packaging expansion 180,000 ~ 220,000 KRW
Bullish Full system semiconductor leadership 250,000 ~ 300,000 KRW+

 

VIII. Final Conclusion

Samsung Electronics is no longer just a memory cycle company.
It is evolving into a system semiconductor powerhouse with long-term structural re-rating potential.
Investors now face a rar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is transformation phase.

Reference Sources

  • Samsung Electronics IR (2024~2025)
  • TSMC Annual Report (2024)
  • U.S. CHIPS Act Reports
  • McKinsey AI Semiconductor Forecast
  • JP Morgan, Morgan Stanley, Goldman Sachs 2024
  • Nikkei Asia, Financial Time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