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esent to the world

조선에도 비행기가 있었다? 라이트 형제보다 300년 앞선 비거(飛車)의 기록

by cocori 2025. 7. 16.
반응형

임진왜란 중 등장한 하늘을 나는 수레, 그것은 상상이었을까? 기록으로 남은 조선의 비행기 ‘비거’를 탐구한다.

 

문헌으로 전해지는 ‘비거(飛車)’의 실체와 의미

현대 항공 기술의 시작은 1903년 라이트 형제가 만든 '플라이어(Flyer)' 비행기에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그보다 300여 년 앞선 조선시대, 임진왜란(1592년) 당시 ‘하늘을 나는 수레’로 불리는 비거(飛車)가 등장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단순한 상상에 불과했을까요? 아니면 당대의 기계 기술로 실제 구현되었을 가능성이 있었던 걸까요? 이 글에서는 비거에 관한 문헌들을 정리하고, 조선의 기계공학 수준과 비교하여 그 역사적 의미를 고찰해 보려고 합니다.

‘비거(飛車)’란?

※ 비거(飛車)는 ‘비차(飛車)’라고도 불립니다. 두 용어 모두 한자 표기는 같지만,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문헌에서는 일관되게 ‘비거’라는 발음이 사용되었으며, 본문에서도 이를 기준으로 표기합니다.

비거 또는 비차 모형

1. 비거에 대한 문헌 기록

문헌 저자 및 연대 주요 내용신뢰도  
《여암전서》〈책차제〉 신경준 (1712~1781) 정평구가 만든 비거로 포위된 성 안의 인명을 구조 높음
《오주연문장전산고》〈비거변증설〉 이규경 (19세기) 비거의 구조, 비행 원리, 구체적 묘사 포함 높음
《조선어문경위》 권덕규 (1923) 민간 전승에 근거한 이야기 정리 중간
《왜사기》 존재하지 않는 위서로 판명 비거 언급 있으나 문헌 신빙성 없음 낮음
 

2. 비거를 만들었다는 정평구는 실존 인물인가?

  • 생몰: 1566년 ~ 1624년
  • 출신지: 전북 김제
  • 본관: 동래 정씨
  • 이력: 문과 낙방 후 무관 전향, 전라우수사 이억기의 추천으로 진주병영 별군관, 김시민 휘하에서 화약 기술 담당

정평구는 조선왕조실록과 묘비, 지방지 등에 기록이 남아 있는 인물로, 단순한 전설상의 인물이 아니라는 점에서 비거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신빙성 가지고 있습니다.

3. 비거의 비행 원리와 구조

《오주연문장전산고》의 기록에 따르면 비거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지닌 것으로 묘사됩니다.

  • 외형: 고니나 따오기를 닮은 구조
  • 추진 방식: 기체에 부착된 가죽 주머니를 통해 공기를 아래로 분사해 부양력 확보
  • 날개 작동: 내부 장치를 통해 4명이 줄을 당겨 양 날개를 상하로 움직여 추진력 생성
  • 비행 고도: 약 100장(약 300m)
  • 비행 거리: 최대 30리(약 12km)

이 구조는 현대 글라이더 혹은 열기구형 장치의 원리와 유사하다고 판단 됩니다.

4. 최초의 동력 비행기인 라이트 형제의 ‘플라이어’와의 비교

항목 조선의 비거 라이트 형제의 플라이어
등장 시기 1592년 (기록상) 1903년 12월 17일
동력 공기 분출 + 수동 작동 가솔린 엔진 + 프로펠러
비행 거리 최대 30리 (약 12km) 36.5m ~ 259m (실측)
고도 약 100장(300m, 문헌 기준) 약 3m
제작자 정평구 오빌 & 윌버 라이트
실물 증거 없음 (기록만 존재) 실물 및 사진 존재
 

5. 세계 고대 문명과 비행 상상력 비교

문화권 비행 상상물 등장 시기 주요 내용
인도 비마나(Vimana) 고대 서사시 신들이 타는 공중 전차
그리스 이카로스의 날개 기원전 8세기 밀랍과 깃털로 하늘을 날다 추락
이슬람 압바스 이븐 피르나스 9세기 실제 글라이더형 날개 실험
유럽 다빈치의 비행기계 15세기 말 조류 모방, 헬리콥터 형태 설계도
중국 연형 활차 기원전 ~ 삼국시대 인간을 띄우는 연 장치 실험
 

※ 조선의 비거는 실현 여부가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표에는 제외하였습니다. 그러나 문헌의 구체성과 기술적 설명의 정교함은 주목할 만합니다.

6. 조선의 기계공학과 과학기술 발달 사례

발명품 제작자 기능 및 구조 역사적 의의
자격루 장영실 자동 물시계 세계 최초의 자동 시보장치
혼천의 세종대 기술진 천체 관측 기기 정밀한 기어 사용, 천문학 발전
측우기 세종대 강우량 측정 세계 최초 기상 계측기
화차 최무선 계열 다연장 로켓 발사 조선 군사기술의 핵심 전력
거북선 이순신 철갑선, 내부 포격 가능 해상 전술 혁신의 대표 예
비거 정평구 비행 수레 (문헌 기록) 실현 가능성 미확정이나 창의성 탁월
 

7. 비거의 역사적 의의

비거는 단순한 설화를 넘어 조선의 기계기술과 상상력이 결합된 특별한 사례입니다. 정평구라는 실존 인물의 기술적 배경, 문헌의 상세한 묘사, 후대 학자들의 기술적 해석은 비거를 허구와 실재 사이의 특별한 과학유산으로 만들어 줍니다.

  • 조선 기계공학의 상상력과 실용기술이 융합된 결정체
  • 동시대 세계 문명과 비교해도 전혀 뒤지지 않는 기계기술 문화
  • 군사기술, 과학기술, 문헌기록이 어우러진 조선 과학문화의 진면목

마무리하며

비거는 아직 실물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기에, 현대 과학기술로 완전히 재현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기술자의 이름이 남고, 작동 원리와 구조가 비교적 명확히 기록된 만큼, 단순한 민간 설화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이는 조선이 단순히 농업 중심의 사회가 아니라, 과학기술과 상상력을 함께 키워온 고도의 문명국가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상징적 유산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영문번역본 보러가기

The Recorded Tale of the 'Bigeo (飛車)', 300 Years Before the Wright Brothers

 

The Recorded Tale of the 'Bigeo (飛車)', 300 Years Before the Wright Brothers

Did Korea build a flying machine 300 years before the Wright brothers? Explore the documented history of the Bigeo (飛車), the mysterious flying vehicle

pre2w.blogspot.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