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도에 따른 물의 끓는점 변화1 높은 산에서 물은 100°C에서 끓지 않는다?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과학 시간의 기본 상식 중 하나는 “물은 100°C에서 끓는다”입니다. 하지만 이 문장은 조건이 붙어야 완전히 맞는 말입니다. 바로 해수면에서의 대기압(1기압) 조건일 때 그렇다는 것이죠.그렇다면 지구에서 가장 높은 곳, 에베레스트 정상(8,848m)에서는 어떨까요?놀랍게도 그곳에서는 물이 100°C가 아니라, 약 70°C 정도에서 끓어버립니다. 왜 높은 곳에서는 물이 낮은 온도에서 끓을까?물이 끓는다는 것은 단순히 뜨거워진다는 뜻이 아니라, 물이 기체로 바뀌어 기포가 생겨나는 현상입니다.이 과정은 수증기압 = 대기압이 되는 순간에 발생합니다.해수면(1기압 = 약 101kPa)에서는 물이 100°C가 되어야 수증기압이 대기압을 이깁니다.하지만 에베레스트 정상의 대기압은 약 0.33.. 2025. 8. 3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