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천상열차분야지도2 천상열차분야지도: 한국 천문학의 정수이자 세계적 유산(1편)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는 현재까지 발견된 천문도 가운데 관측 연대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전천(全天) 천문도입니다. 조선 태조 4년(1395년)에 완성되어 이듬해(1396년) 거대한 오석(烏石) 위에 새겨진 석각본입니다. 이 지도는 한반도의 고유한 천문 관측 전통을 집대성한 것으로, 정밀도와 과학적 가치 면에서 동아시아 전체를 통틀어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천문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천상열차분야지도’라는 이름에는 독특한 동양적 우주관이 녹아 있습니다.‘천상’은 하늘 위의 별들을,‘열차’는 별들의 배열과 이동 순서를,‘분야’는 하늘을 지상에 있는 행정구역처럼 28개 구역으로 나눈 개념을 의미하며,‘지도’는 이러한 모든 정보를 시각화한 지도임을 뜻한다. 1. 제작 배경과 역.. 2025. 5. 10. 천상열차분야지도: 현대적 가치와 세계적 영향(2편) 1. 잊혔던 유산에서, 다시 세상의 빛으로 한때 역사 속에 묻혀 있던 천상열차분야지도가 다시금 주목을 받은 건 1960년대 중반의 일이었습니다. 서울 창경궁의 구석, 마치 시간이 멈춘 듯한 자리에서 이 거대한 석각 천문도가 발견되었을 때, 학계는 물론 일반 대중까지도 놀라움과 감탄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수백 년 동안 잊혀졌던 우리의 하늘 기록이 다시 세상 위로 떠오른 순간이었죠.이후 보존을 위한 정비와 연구가 본격화되면서, 천상열차분야지도는 1985년 대한민국 국보 제228호로 지정되었고, 그 가치가 국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현재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원본과 정교한 복각본이 함께 전시되어 있어, 누구든지 조선 천문학의 정수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2. 과학의 눈으로 다시 읽는 .. 2025. 5.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