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학에서는 앞에서 배운 개념이 다음 단계의 학습 기반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등학교에서 배우는 약수와 배수가 중학교 인수분해의 기초가 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단계별 예제와 친절한 풀이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1. 초등 단계 복습: 약수와 배수
(1) 약수
- 어떤 수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를 약수라고 합니다.
- 예: 12의 약수 → 1, 2, 3, 4, 6, 12
(2) 배수
- 어떤 수를 곱해서 얻은 수를 배수라고 합니다.
- 예: 4의 배수 → 4, 8, 12, 16, …
(3)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 최대공약수(GCD, Greatest Common Divisor): 두 수의 공약수 중 가장 큰 수
- 예: 24와 36의 공약수 → 1, 2, 3, 4, 6, 12
- 최대공약수 → 12
- 최소공배수(LCM, Least Common Multiple): 두 수의 공배수 중 가장 작은 수
- 예: 4와 6의 공배수 → 12, 24, 36 …
- 최소공배수 → 12
여기서 중요한 점: 공약수와 공배수 개념은 ‘곱과 나눗셈 관계’를 이해하는 연습과 연결됩니다.
2. 중학교 단계: 인수분해의 기초
중학교에서는 숫자뿐 아니라 식에서도 공약수 개념을 적용합니다.
(1) 인수분해란?
- 공통인수로 묶기: 여러 항에서 공통으로 나눌 수 있는 수나 문자를 꺼내는 것
- 예: 6x+9y
- 6과 9의 최대공약수 = 3
- 따라서 공통인수 3을 꺼내면
6x + 9y = 3(2x + 3y)
(2) 단계별 풀이 전략
- 각 항의 수와 문자를 확인
- 공약수 찾기
- 공약수로 묶어서 괄호 안에 남은 식을 정리
3. 예제 풀이
4. 학습 포인트
- 초등 단계에서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
- 중학교 인수분해 기초는 최대공약수로 공통인수를 묶는 것에서 시작
- 약분과 연결: 인수분해를 이해하면 분수의 약분도 더 쉽게 이해 가능
5. 연결 핵심 요약
초등 5~6학년 | 중1 연결 단원 | 핵심 내용 |
약수와 배수 | 인수분해 기초 | 공약수·공배수 개념은 식의 공통인수 추출과 약분의 기초 |
최대공약수(GCD) | 공통인수 찾기 | 두 수의 최대공약수로 항 묶기 연습 |
최소공배수(LCM) | 분수 계산, 배수 개념 | 분모를 통일하거나 약분할 때 도움 |
결론
초등학교의 약수와 배수 개념은 단순한 숫자 놀이가 아니라, 중학교 수학의 인수분해, 분수 약분, 방정식 계산까지 연결되는 중요한 기초입니다.
- 약수와 최대공약수 → 공통인수 묶기
- 배수와 최소공배수 → 분수 계산과 방정식 풀이에서 통분
즉, 초등 단계에서 공약수와 배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연습한 학생은 중학교 인수분해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초등학교 고학년 수학 약수와 배수 단원을 통해 중학교 1학년 연결단원 인수분해 기초와 어떻게 연계 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이처럼 수학은 튼튼한 기초에서 부터 확장 된다는 것을 알고 꾸준히 학습하길 바랍니다.
반응형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고학년 수학과 중학교 1학년 수학 연결: 1단원 –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 → 문자와 식(방정식) (1) | 2025.08.26 |
---|---|
초등학교 고학년 수학이 중학교 수학 성적을 좌우하는 중요 단원 정리 (0) | 2025.08.20 |